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Phone Selector
- 가상컴퓨터
- jenkins 업데이트
- phpMyAdmin
- 웹서버
- ubuntu
- 우분투
- 젠킨스
- 아파치 https 적용
- 인증번호 문자
- php
- CODEIGNITER
- vimrc
- 아파치
- 버추얼박스
- 전화번호 가져오기
- Android
- jenkins
- virtualbox
- 우분투 아파치 ssl
- 안드로이드
- SMS Retreiver API
- vim
- 가상머신
- vi
- 우분투 젠킨스 업데이트
- 리눅스
- jenkins war
- Firebase
- 우분투 젠킨스
- Today
- Total
철스토리
VirtualBox에 리눅스(Ubuntu) 설치하기 본문
* 리눅스 버전은 다양하지만 Ubuntu의 최신버전 (16.04.2 LTS)를 설치하도록 하겠다.
1. ubuntu 사이트 접속
2. 다운로드 페이지 이동 및 파일 다운로드
- 서버와 데스크탑 버전이 있는데 데스크탑을 설치하도록 함
: http://ftp.daumkakao.com/ubuntu-releases/16.04.2/ubuntu-16.04.2-desktop-amd64.iso
3. 아래처럼 모두 0으로 바꿔주면 다운로드가 가능해 진다.
4. VirtualBox 실행
5. 새로 만들기 버튼
운영체제 리스트가 32비트만 보이고 64비트가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다.
1) 바이오스 : 가상화 기술 사용을 사용하도록 해주어야 한다.
2) 제어판 : Hyper-V 해제하기
바이오스는 설정은 되어 있었는데도 안되서 확인해보니 2) 처럼 해야 함을 알게되었다.
6. 디스크 용량 원하는 만큼 주기
: Ubuntu Server보다 Desktop이 자원을 많이 사용하므로 디스크를 크게 잡아준다. 동적할당으로 선택했기 때문에 실제 디스크가 100기가가 생성되는건 아니다.
7. 기본적인 가상머신이 세팅완료
8. Ubuntu ISO파일 넣기
: 다운로드 받은 Ubuntu ISO 파일을 시디로 인식시킬 차례다. 가상머신을 선택하고 설정을 누른다.
: 좌측 저장소 -> 저장소 트리에 "비어 있음"이라고 써있는 씨디모양 선택 -> 광학드라이브 오른쪽 씨디 모양 선택 -> 가상 광 디스크 파일 선택 -> 다운 받았던 파일 선택
9. 준비는 끝! 설치!
: 가상머신은 선택하고 시작을 누른다.
10. 우분투 설치............
11. 설치 끝!
: Restart Now를 누르면 우분투가 재시작 되는데 아래처럼 나올꺼다. 엔터 처주면 된다.
'개발환경구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 및 설정들 (0) | 2017.03.10 |
---|---|
윈도우10에서 VirtualBox 설치하기 (1) | 2017.03.10 |